728x90 쓸데없는 지식 창고423 [쓸겜지] 마격이란? 마격이란? 마격은 '마무리 일격'의 줄임말이며, 적/몬스터의 체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대미지/피해를 주는 스킬을 의미한다. 2005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이하 와우)가 대한민국에 출시하면서 알려지게된 단어이다. 와우 전사 직업 스킬 중에서 적/몬스터의 체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갔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인 '마무리 일격'에서 유래가 되었다. 2022. 3. 4. [쓸겜지] 막타와 킬딸이란? 먼저 막타부터 알아보자. 막타는 마지막 타격의 줄임말로 체력이 얼마 남지 않은 몬스터/적에게 마지막 타격을 가해 잡는/죽이는 행위를 의미한다. 과거 대부분의 RPG 게임에서 몬스터/적의 막타를 쳤을 때 경험치가 들어왔기 때문에 쩔 또는 분쟁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현재의 RPG에서는 대부분 기여도에 따라 경험치가 들어가기 때문에 경험치 막타에 대한 개념은 거의 사라졌다. 물론 아직까지도 막타를 치면 아이템이 들어오는 몇몇 게임들이 존재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는 킬을 빼앗는 행위인 ‘킬딸’의 의미로도 많이 사용한다. 킬딸은 적/몬스터를 죽이는 행위인 Kill(킬)과 자위를 뜻하는 ‘딸딸이’가 합쳐진 단어로 어렵게 이야기하면 ‘킬을 딸딸이 치듯 혼자 다 한다.’이고, 쉽게 이야기하면 킬을 빼앗는 행위.. 2022. 3. 4. [쓸겜지] KDA 란? (Kill Death Assist) KDA 란? (Kill Death Assist) KDA는 적을 죽인 수를 뜻하는 Kill(킬), 적에게 죽은 수를 뜻하는 Death(데스), 적을 죽이는 데 도움을 준 수를 뜻하는 Assist(어시스트/어시)의 앞글자를 딴 약어이며, 통상적으로 킬+어시스트를 데스로 나눈 값을 이야기한다. 킬+어시스트 / 데스 = KDA 즉, 한 번 죽을 때마다 얼마나 킬/어시스트를 하였는 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보통 AOS(MOBA)/FPS/TPS 장르에서 사용하며, KDA가 높은 사람/선수일수록 실력이 뛰어난 편이다. 물론 KDA가 높다고 무조건 실력이 뛰어난 것은 아니다. 익히 알고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K/DA도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AOS/MOBA [쓸겜지] AOS란? (Aeon Of Strife) .. 2022. 3. 3. [엘든링] 최적화 모음 (스터터링/프리징 완화) 출시 전부터 엄청난 평점을 받은 엘든링이 2월 25일에 출시했다. 출시 전 평가처럼 매우 재미있는 것은 맞았지만 스터터링/프리징/60hz 등... 최적화 문제가 발생했다. 덕분에 엘든링 스팀 평가는 복합적까지 떨어졌었다. 제작사 프롬 소프트웨어는 최적화 패치를 하겠다 약속했지만 3월 2일인 현재까지 최적화 패치는 이뤄지지 않았다. 그렇기에 유저들이 최적화하는 방법을 찾아서 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 글 역시 엘든링 최적화 방법을 제시하는 글이다.-> 3월 5일 자 추가 : 최적화 패치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최적화는 거지 같다... 하지만 여기 적혀있는 모든 방법을 사용해도 완벽하게 스터터링/프리징 현상을 잡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니 주의하자.(초고사양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비주류 역시 완벽하게 .. 2022. 3. 2. [엘든링] 엘든 링 지도 정보 (Elden Ring Wiki) 엘든링 모든 좌표가 적혀 있는 지도 사이트 Elden Ring Map | Elden Ring Wiki (fextralife.com) Elden Ring Map | Elden Ring Wiki Elden Ring Interactive Map: Find all Locations, Armor, Weapons, Bosses, Keys and NPCs with an easy interactive search. Links to strategies and item details! eldenring.wiki.fextralife.com 2022. 3. 2. [쓸겜지] 로밍/로머란? (Roaming/Roamer) 로밍/로머란? (Roaming/Roamer) 먼저 로밍/로머 (Roaming/Roamer)의 원형인 롬(Roam)은 '돌아다니다. 배회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기반으로 로밍(Roaming)은 게임 상에서 맵/지도/지형을 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AOS/MOBA 장르에서는 자신의 라인을 벗어나 다른 곳 돌아다니며 영향력을 펼치는 행위를 의미한다. 흔히 우리가 해외여행할 때 사용하는 로밍(Roaming)도 같은 로밍이지만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로머(Roamer)는 게임 상에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적대적 NPC/몬스터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게임에서 몬스터들은 정해진 작은 범위에서 움직이는 편인데, 로머(Roamer)는 한 구역을 순찰하듯 긴 거리를 움직이는 인다. 그렇기 때.. 2022. 2. 25. [쓸겜지] 스왑이란? (Swap) 스왑이란? (Swap) ‘바꾸다, 교체, 교환’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스왑(Swap)은 게임 상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RPG 장르에서는 무기/장비 같은 것을 교체할 때 사용되며, 이따금씩 레이드/던전 같은 곳에서 캐릭터/플레이어의 위치/특성과 같은 것을 변경할 때에도 사용된다. MOBA/AOS 장르에서는 라인/레인(탑,미드,바텀,정글)을 서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FPS/TPS 장르에서는 RPG와 마찬가지로 무기/장비 같은 것을 교체할 때 사용되며 이따금 캐릭터/플레이어의 위치/특성과 같은 것을 변경할 때에도 사용된다. 즉, 스왑은 무언가를 바꾸거나 교체할 때 사용하는 단어이다. - AOS/MOBA [쓸겜지] AOS란? (Aeon Of Strife) feat.MOBA (tistory.com.. 2022. 2. 24. [쓸겜지] 갱/갱킹이란? (Gank/Ganking) 갱/갱킹이란? (Gank/Ganking) 먼저 갱킹(Ganking)은 범죄 조직/패거리를 뜻하는 Gang 과 죽이다를 뜻하는 Kill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그렇기 때문에 팀원과 힘을 합쳐 적을 죽이는 것을 의미한다. 갱(Gank)은 그저 갱킹(Ganking)을 줄여서 부르는 말이다. 파생어로는 역갱(Counter Gank) : 역으로 적 팀에게 당하는 것. 눈갱 : 못 볼 걸 보았을 때. (역갱을 기반으로 파생된 단어이다.) 귀갱 : 못 들을 걸 들었을 때. (역갱을 기반으로 파생된 단어이다.) 2022. 2. 23. [쓸컴지] 윈도우10 메모장이 사라졌을 때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갑자기 메모장이 안켜질 때가 있다. 이때 할 수 있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다. 먼저 1. 작업 표시줄 가장 왼쪽 시작 버튼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클릭 - 설정(N) 클릭 2. 앱 클릭 3. 앱 및 기능 - 선택적 기능 클릭 4. Windows 메모장 클릭 – 제거 5. 상단의 기능 추가 클릭 – 메모장 검색 – 선택 – 설치 클릭 이렇게하면 메모장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방법을 이용한다면 윈도우의 다른 기본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잘 기억하고 있는 것이 좋다. 2022. 2. 15.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4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