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쓸데없는 게임 지식/각종 게임 용어90

[쓸겜지] KDA 란? (Kill Death Assist) KDA 란? (Kill Death Assist) KDA는 적을 죽인 수를 뜻하는 Kill(킬), 적에게 죽은 수를 뜻하는 Death(데스), 적을 죽이는 데 도움을 준 수를 뜻하는 Assist(어시스트/어시)의 앞글자를 딴 약어이며, 통상적으로 킬+어시스트를 데스로 나눈 값을 이야기한다. 킬+어시스트 / 데스 = KDA 즉, 한 번 죽을 때마다 얼마나 킬/어시스트를 하였는 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보통 AOS(MOBA)/FPS/TPS 장르에서 사용하며, KDA가 높은 사람/선수일수록 실력이 뛰어난 편이다. 물론 KDA가 높다고 무조건 실력이 뛰어난 것은 아니다. 익히 알고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K/DA도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AOS/MOBA [쓸겜지] AOS란? (Aeon Of Strife) .. 2022. 3. 3.
[쓸겜지] 로밍/로머란? (Roaming/Roamer) 로밍/로머란? (Roaming/Roamer) 먼저 로밍/로머 (Roaming/Roamer)의 원형인 롬(Roam)은 '돌아다니다. 배회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기반으로 로밍(Roaming)은 게임 상에서 맵/지도/지형을 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AOS/MOBA 장르에서는 자신의 라인을 벗어나 다른 곳 돌아다니며 영향력을 펼치는 행위를 의미한다. 흔히 우리가 해외여행할 때 사용하는 로밍(Roaming)도 같은 로밍이지만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로머(Roamer)는 게임 상에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적대적 NPC/몬스터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게임에서 몬스터들은 정해진 작은 범위에서 움직이는 편인데, 로머(Roamer)는 한 구역을 순찰하듯 긴 거리를 움직이는 인다. 그렇기 때.. 2022. 2. 25.
[쓸겜지] 스왑이란? (Swap) 스왑이란? (Swap) ‘바꾸다, 교체, 교환’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스왑(Swap)은 게임 상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RPG 장르에서는 무기/장비 같은 것을 교체할 때 사용되며, 이따금씩 레이드/던전 같은 곳에서 캐릭터/플레이어의 위치/특성과 같은 것을 변경할 때에도 사용된다. MOBA/AOS 장르에서는 라인/레인(탑,미드,바텀,정글)을 서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FPS/TPS 장르에서는 RPG와 마찬가지로 무기/장비 같은 것을 교체할 때 사용되며 이따금 캐릭터/플레이어의 위치/특성과 같은 것을 변경할 때에도 사용된다. 즉, 스왑은 무언가를 바꾸거나 교체할 때 사용하는 단어이다. - AOS/MOBA [쓸겜지] AOS란? (Aeon Of Strife) feat.MOBA (tistory.com.. 2022. 2. 24.
[쓸겜지] 갱/갱킹이란? (Gank/Ganking) 갱/갱킹이란? (Gank/Ganking) 먼저 갱킹(Ganking)은 범죄 조직/패거리를 뜻하는 Gang 과 죽이다를 뜻하는 Kill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그렇기 때문에 팀원과 힘을 합쳐 적을 죽이는 것을 의미한다. 갱(Gank)은 그저 갱킹(Ganking)을 줄여서 부르는 말이다. 파생어로는 역갱(Counter Gank) : 역으로 적 팀에게 당하는 것. 눈갱 : 못 볼 걸 보았을 때. (역갱을 기반으로 파생된 단어이다.) 귀갱 : 못 들을 걸 들었을 때. (역갱을 기반으로 파생된 단어이다.) 2022. 2. 23.
[쓸겜지] HP/MP 란? HP/MP 란? 먼저 HP는 Hit Point 또는 Health Point의 약어로 게임 상에서 캐릭터의 체력을 의미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피’라고도 이야기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 HP가 딸린다/부족하다. 체력이 딸린다/부족하다. 피가 없다/부족하다. 이렇게 사용된다. 다음으로 MP는 Magic Point 또는 Mana Point의 약어로 게임 상에서 마법/기술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능력치/수치로 사용된다. Mana(마나)는 보통 우리나라에서 기(氣)/기력(氣力)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하지만 게임 상에서는 Mana(마나)와 기력(氣力)을 분간해서 사용하는 편이다. 마나를 소모해서 사용하는 마법/기술과 기력을 소모해서 사용하는 마법/기술이 다르기 때문이다. MP는 보통 마력이라고도 사용하며 사용 예는.. 2022. 2. 14.
[쓸겜지] 큐란? (Queue) 큐란? 큐(Queue)는 줄/줄을 서서 기다리다/대기 행렬을 뜻하는 단어이며, 게임 상에서도 본래의 뜻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게임 상에서 큐(Queue)는 ‘기다리다.’라는 뜻으로 많이 사용하며, ‘게임의 한 판’,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 기다림’, ‘기다리던 게임’ 으로도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큐를 잡는 중이다. 큐가 잡혔다. 큐가 안 잡힌다. 와 같이 사용한다. 2022. 2. 7.
[쓸겜지] AOS란? (Aeon Of Strife) feat.MOBA AOS란? AOS는 Aeon Of Strife의 앞 글자를 딴 약어로 2002년 제작된 스타크래프트 유즈맵(사용자 정의 지도)의 이름이다. AOS는 현재 장르가 되었지만 과거에는 그저 한 게임의 유즈맵일 뿐이었다. 하지만 Aeon Of Strife 유즈맵은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롤)와 도타2의 전신이 되는 게임이다. 즉, Aeon Of Strife가 없었다면 롤과 도타2는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었던 것이다. AOS 장르는 플레이어가 하나의 캐릭터를 선택, 정해진 맵에서 레벨과 스킬을 올리고 아이템을 맞춰 상대 진영을 파괴하는 실시간 공성 게임이다. 간단히 말해서 캐릭터를 성장시켜 적진을 파괴하는 실시간 공성 게임이다. AOS와 비슷한 의미로 MOBA가 있는데 MOBA는 Multiplayer Onlin.. 2022. 1. 28.
[쓸겜지] 딜로스란? (Deal Loss) Feat.딜 딜로스란? 딜로스(Deal Loss)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딜’에 대해 알아야 한다. 딜은 세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첫 번째는 데미지 딜러(Damage Dealer)를 줄인 것, 두 번째는 데미지를 주는/넣는 행위를 줄인 것, 세 번째는 그냥 ‘데미지’를 대신 사용하는 것(이 경우 ‘뎀’이라고도 한다.)이다. 보통 딜을 넣다/딜을 하다/딜이 안나온다라고 쓰인다. (이따금씩 DPS 미터기/데미지 미터기를 ‘딜 미터기’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딜로스(Deal loss)는 ‘딜’에 상실/손실을 뜻하는 로스(Loss)가 붙어 사용되는 만큼 ‘딜’에 손해가 있을 때 사용한다. 즉, 딜로스는 무언가로 인해 딜을 하지 못하는 상황 또는 무언가로 인해 딜이 안 나오는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적의.. 2022. 1. 27.
[쓸겜지] MMR이란? (MatchMaking Rating) MMR이란? MMR은 MatchMaking Rating의 앞 글자를 딴 약어이다. 어렵게 이야기하면 대전 상대를 정하기 위해 측정되는 점수이며, 쉽게 이야기하면 공정한 매치 메이킹을 위한 점수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롤)이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하며 널리 알려지게 된 단어이다. 현재는 롤뿐만 아니라 경쟁/순위/랭크가 있는 게임에는 전부 MMR이 있다. 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 이터널 리턴, 철권 같은 게임들이 있다. MMR은 보통 점수로 표기되며 보통 백(100)에서 천(1000) 단위로 사용된다. 요즘은 점수보다는 브론즈/실버/골드/플래티넘/다이아와 같은 등급(티어)으로 표시하는 편인데, 이러한 등급(티어)을 결정하는 것이 MMR이다. MMR과 등급(티어)을 이용해서 대전 상대를 정하는 이유는 공.. 2022. 1.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