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쓸데없는 게임 지식266 [쓸겜지] 버그란? (bug) 버그란? 버그(bug)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착오를 의미하는 단어로 간단히 이야기하면 프로그램/시스템의 오류라고 할 수 있다. 게임 상에서도 본래의 뜻과 비슷하게 사용되는데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득을 볼 수도 있고, 게임 진행이 불가능해 질 수도 있다. 이득을 볼 수 있는 버그 같은 경우는 대부분 개발사에 의해 빠르게 핫픽스 되는 편이다. 왜냐하면 개발사가 의도하지 않은 이득을 보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게임 내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돈 복사 버그, 아이템 복사 버그와 같은 것이 있다. 하지만 버그가 재미있는 요소를 만들어내 개발사가 생각지도 못한 콘텐츠를 만들 때도 있다.(물론 극히 드문 일이지만...) 버그로 악명 높은 게임으로는 마그나카르타, 포가튼.. 2022. 1. 9. [쓸겜지] 티배깅이란? (Tea-bagging) 티배깅(Tea-bagging)이란? 티배깅(Tea-bagging)은 죽은 상대 캐릭터의 얼굴에서 앉았다 일어섰다 하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하며 도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은 FPS/TPS 류 게임에서 많이 사용되며, 요즘은 리그 오브 레전드(롤)에서도 상대를 놀리는 듯한 감정 표현을 연타하는 것으로 티배깅 하기도 한다. (롤에서는 얼굴에 앉았다 일어섰다는 못하는 대신 분노를 유발하는 감정표현으로 대신 티배깅을 하는 것이다.) 티배깅(Tea-bagging)은 티백을 차에 담갔다 뺏다 반복하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모습이 마치 오랄 성교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입에 넣었다 빼듯) 자신에게 패배한 상대에게 강제로 오랄 성교를 시키는 굴욕을 맛보게 함으로써 상대를 도발하고, 괴롭히고, 놀리는 것을 의미하.. 2022. 1. 8. [쓸겜지] 각폭이란? 각폭이란? 각폭은 어렵게 이야기하면 FPS/TPS 류 게임에서 투척할 수 있는 폭탄류를 적들이 올 것 같은 장소에 예측하여 던져 공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쉽게 이야기하면 각 잡고 수류탄(폭탄류)을/를 던져 적을 공격하는 것이다. 또한 투척할 수 있는 폭탄류(수류탄)를/을 벽에 맞고 떨어질 각도를 계산하여 던지는 것 또한 각폭에 포함된다. 각폭의 각은 각도 또는 각을 잡다를 의미하는 것이고, 폭은 FPS/TPS 류 게임에서 수류탄을 의미한다. (아주 예전부터 폭은 FPS/TPS 류 게임에서 수류탄을 의미했다.) 각폭이라는 단어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FPS/TPS 류 게임에서 지금까지도 매우 잘 활용되고 있는 단어이다. - FPS https://bzooryu.tistory.com/7.. 2022. 1. 8. [POE] POE가 렉 걸린다면 한 번 해볼 만한 설정들 POE가 오래된 게임이지만 조금 거지같은 최적화와 은근히 높은 사양을 요구 때문에 렉이 걸릴 때가 있다. 그럴 때 할 수 있는 설정들을 알아보자.그래픽 설정게임에 접속 – 설정 – 그래픽 가장 먼저 렌더러를 Vulkan (베타)로 바꿔주자. 조금 사양을 타지만 기존보다 훨씬 나은 환경을 구축해 준다.2023.12.09 추가 내용 Vulkan도 좋지만 자신의 컴퓨터 사양이 높다 생각된다면 Direct12(베타) 사용을 추천한다. 그리고 세부 설정에서 빛 반사 효과/그림자 퀄리티/태양 그림자 품질/조명 수/물 세부 표현을 전부 가장 낮은 것으로 바꿔주자. 이 게임은 오브젝트/파티클 개채수가 많기 때문에 이 옵션만 낮춰줘도 게임이 쾌적하게 변한다. 블룸과 피사계 심도는 취향이지만 오랫동안 화면을 봐야하기 때문.. 2022. 1. 7. [쓸겜지] 어뷰징이란? (Abusing) 어뷰징이란? 어뷰징(Abusing)은 오/남용, 학대, 욕설을 뜻하는 Abuse가 원형이며, 게임 상에서는 버그를 악용, 불법프로그램(핵, 치트)을 사용, 계정 도용, 승부 조작과 같은 행위를 통해 부당한 이득을 취득/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어뷰징(Abusing) 무언가를 얻기 위해 절대 해서는 안 되는 방법/행동들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어뷰징(Abusing)하는 사람/캐릭터를 콩글리쉬로 어뷰저(Abuser)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통 게임의 승패에 따라 점수/경험치와 같은 요소들이 주어지는 게임에서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리그 오브 레전드의 랭크 대리, 고의적/악의적 패작(일부러 지는 것)들이 있다. 어뷰징(Abusing)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어뷰징(Abusing)으로 이득을 .. 2022. 1. 6. [쓸겜지] 브루저란? (Bruiser) 브루저란? 브루저(Bruiser)는 덩치가 크고 거친 남자를 뜻하는 단어로 우리나라 말로 상남자를 의미한다. 그런데 도대체 왜 게임에서 브루저라는 말이 사용되는 것일까? 게임 상에서 브루저는 적의 공격을 받아 내면서도 피해(대미지)를 가하는 ‘딜탱’을 지칭하는 말이다. 즉, 딜도 어느 정도 되고, 탱도 어느 정도 되는 캐릭터를 의미한다. (딜과 탱의 뜻이 궁금하다면 아래 주소를 클릭하자) 그리고 그 모습이 마치 거칠고, 강한 상남자와 비슷하다고 하여 북미에서 브루저라고 부르게 되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시작된 용어이며 가렌/레넥톤/다리우스/잭스 같은 캐릭터를 보통 브루저라고 부른다. - 딜/탱 https://bzooryu.tistory.com/113 [쓸겜지] 탱커/딜러/힐러 란? (Tanker/De.. 2022. 1. 5. [쓸겜지] DPS/DPM이란? Feats. 대미지 미터기(Damage Meter 기) DPS/DPM이란? 먼저 DPS는 Damage Per Second의 앞 글자를 딴 약어로 초당 피해량(대미지-Damage)을 말한다. 즉, 1초당 입히는(가한) 피해량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00 DPS 라면 1초당 1000의 피해량을 입혔다(가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DPM은 Damage Per Minute의 앞 글자를 딴 약어로 분당 피해량을 말한다. 즉, 1분당 입히는(가한) 피해량(대미지-Damage)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00 DPM 이라면 1분당 1000의 피해량를 입혔다(가했다)는 것이다. 보통 DPS와 DPM 보여주는 기능을 ‘미터기’라고 부르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초창기 DPS/DPM를 측정해주는 에드온(Add on)-기능 추가 및 UI.. 2022. 1. 5. [쓸겜지] NPC란? NPC란? NPC는 Non-Player Character의 앞 글자를 딴 약어로 플레이어가 아닌 캐릭터를 뜻한다. 즉, 사용자가 직접 조종 할 수 없는 캐릭터를 말하는 것이다. 게임 상에서 대표적인 NPC로는 캐릭터에게 물건을 파는 상인, 퀘스트를 주는 인물, 마을에서 말을 거는 인물들이 있다. 물론 적(몬스터)도 사용자가 직접 조종 할 수 없기 때문에 NPC에 포함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NPC는 플레이어(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거나, 말을 하거나, 콘텐츠를 진행하는 인물들을(혹은 도움을 주거나 안내해 주는) 의미하는 편이다. (보통 몬스터는 NPC에 포함되지 않는 편이다.) 많은 게임 장르에 NPC가 있지만 주로 RPG 장르에 NPC가 많이 등장하는 편이다. - RPG.. 2022. 1. 5. [쓸겜지] 탱커/딜러/힐러 란? (Tanker/Dealer/Healer) - (Tank/DPS/Healer) 탱커/딜러/힐러 란? 먼저 탱커에 대해 알아보자. 탱커(Tanker)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탱크(Tank)가 원형이며 탱크(Tank)에 사람을 뜻한다는 er을 붙인 단어이다. 탱커는(Tanker)는 게임 상에서 적의 공격을 받아 내며, 팀원들을 보호하는 방어 역할을 한다. 탱커의 유래에는 많은 썰이 있지만, 탱크(Tank)가 처음 사용된 1차 세계 대전 당시의 탱크(Tank)에서 유래되었다는 썰이 가장 유력하다. 탱크(Tank)는 1차 세계 대전 당시 처음 사용되었으며, 그때 당시의 탱크(Tank)는 포탄을 발사하는 공격 기능이 없었고, 그저 돌격병들의 튼튼한 방패 역할만을 했다. 즉 적들의 공격을 최전방에서 막아주며 돌격병(팀원)을 보호해 준 것이다. 그렇게 전해져 온 탱크(Tank)가 지금의 탱커.. 2022. 1. 4.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728x90